본문 바로가기

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

[C++] Programmers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

문제 설명

 

 

문제 내용 ⬇️

더보기

네오와 프로도가 숫자놀이를 하고 있습니다. 네오가 프로도에게 숫자를 건넬 때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꾼 카드를 건네주면 프로도는 원래 숫자를 찾는 게임입니다.

다음은 숫자의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꾸는 예시입니다.

 

  • 1478 → "one4seveneight"
  • 234567 → "23four5six7"
  • 10203 → "1zerotwozero3"

 

이렇게 숫자의 일부 자릿수가 영단어로 바뀌어졌거나, 혹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인 문자열 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 s가 의미하는 원래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 

참고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영단어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.

 

 

숫자 영단어
0 zero
1 one
2 two
3 three
4 four
5 five
6 six
7 seven
8 eight
9 nine

 

제한사항

  • 1 ≤ s의 길이 ≤ 50
  • s가 "zero" 또는 "0"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• return 값이 1 이상 2,000,000,000 이하의 정수가 되는 올바른 입력만 s로 주어집니다.

 

입출력 예

 

s result
"one4seveneight" 1478
"23four5six7" 234567
"2three45sixseven" 234567
"123" 123

 

입출력 예 설명

 

입출력 예 #1

  •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
 

입출력 예 #2

  •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
 

입출력 예 #3

  • "three"는 3, "six"는 6, "seven"은 7에 대응되기 때문에 정답은 입출력 예 #2와 같은 234567이 됩니다.
  • 입출력 예 #2와 #3과 같이 같은 정답을 가리키는 문자열이 여러 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.

 

입출력 예 #4

  • s에는 영단어로 바뀐 부분이 없습니다.

 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1301

 

프로그래머스
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
programmers.co.kr


내 풀이 과정

입력값으로 받은 문자열에서 숫자는 그대로 두고, 영어로 된 부분은 숫자로 바꾸면 되는 매우 간단한 문제이다.

그래서 내가 보자마자 생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.

 

1. 숫자 영단어를 map에 저장 

2. 입력받은 문자열을 0번 째부터 순회

2-1. 숫자라면 그대로 사용

2-2. 단어라면 map에서 찾아서 변환 후 사용

3. 숫자로 바꾼 값들을 하나하나 저장

 

내 코드

더보기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cctype>
#include <map>

using namespace std;
int start = 0;
map <string, int> m;

void makeMap() {
    m.insert({"zero", 0});
    m.insert({"one", 1});
    m.insert({"two", 2});
    m.insert({"three", 3});
    m.insert({"four", 4});
    m.insert({"five", 5});
    m.insert({"six", 6});
    m.insert({"seven", 7});
    m.insert({"eight", 8});
    m.insert({"nine", 9});
}

int convert(string s) {
    int value;
    for(int i = 3; i < 6; ++i) {
        string subS = s.substr(0, i);
        if(m.find(subS) != m.end()) {
            start += i;
            value = m.find(subS) -> second;
            return value;
        }
    }
    return -1;
}

int findNum(string s) {
    if(isdigit(s.at(0))) {
        start++;
        return s.at(0) - '0';
    }
    else return convert(s);
}

int solution(string s) {
    int answer = 0;
    makeMap();
        
    while(true) {
        if(start == s.size()) break;
        int temp = findNum(s.substr(start));
        
        answer = answer * 10 + temp;
    }
    
    return answer;
}

 

실행 결과

 

평가

해당 코드는 매우 비효율적이다.

굳이 sub string을 사용하여 메모리를 계속 쓴 점과 비효율적으로 영어인지 숫자인지 검사한 점.

그리고 가장 큰 이유는 전혀 우아하지 않은 코드라는 점이다. 

 


다른 사람 풀이 과정

그래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았는 데, 처음 보는 함수를 발견하였다.

바로 regex_replace 라는 함수였다.

 

regex_replace

<regex>라는 정규표현식 관련 라이브러리에 있으며, 문자열에서 문자를 검색 후 치환하는 함수이다.

regex_replace(string input, regex(string target), string replace);

 

이 함수를 이용하면 코드를 훨씬 간단히 할 수 있다.

 


최종 코드

단어를 미리 저장 후, regex_replace 함수로 변환하는 코드로 수정하였다.

 
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regex>

using namespace std;

vector <string> dict = {"zero", "one", "two", "three", "four", "five", "six", "seven", "eight", "nine"};

int solution(string s) {
    for(int i = 0; i < dict.size(); ++i)
        s = regex_replace(s, regex(dict[i]), to_string(i)); 
    
    return stoi(s);
}

훨씬 간결하고 우아하고 깔끔해졌다.🥰

 

실행 결과

생각했던 것보다 코스트가 많이 들었다. 아무래도 regex_replace 함수에서 코스트가 많이 발생한 것 같은데 나중에 한 번 뜯어봐야겠다.